목록으로

성경과 신학

하나님의 본질에 충실한 제자훈련과 자연법
by 최창국2023-06-29

우리가 하나님의 본질을 어떻게 믿느냐에 따라 우리의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영적 상태가 달라진다. 사랑의 하나님을 믿고 예배하는 사람은 사랑이 더 많아지고, 독재자와 권위주의적인 신을 숭배하는 사람은 학대가 더 심해진다(티머시 제닝스, 마음, 하나님 설계의 비밀, 164. 이하 제닝스의 같은 책에서 인용). 따라서 ‘어떤 하나님 개념을 품는가’는 중요한 문제다. 앤드류 뉴버거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실시한 뇌 연구에 따르면, 모든 형태의 명상이 뇌의 긍정적 변화와 관계된 것으로 밝혀졌지만 최대의 뇌 기능의 향상은 참여자들이 구체적으로 사랑의 하나님을 묵상할 때 이루어졌다. 사람들이 사랑의 하나님을 묵상할 때, 추론하고 판단하고 하나님 같은 사랑을 경험하는 이마 바로 뒤쪽의 뇌 부위 전전두피질을 발달시키고, 그에 따라 공감과 동정과 긍휼과 이타심의 역량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장 놀라운 부분은 그다음이다. 사랑의 하나님을 믿고 예배하면 타인 중심의 사랑이 커질 뿐 아니라 예리한 사고력과 기억력까지 더 좋아진다. 즉, 사랑의 하나님을 믿고 예배하면 실제로 뇌의 치유와 성장이 촉진된다(Andrew Newberg·Mark Robert Waldman, How God Changes Your Brain, 27-32, 53). 그러나 사랑의 하나님이 아닌 권위주의적이거나 엄한 존재와 같은 신으로 믿고 예배하면 두려움의 회로가 활성화된다. 이런 신을 계속 믿고 예배하게 되면, 결국 만성적으로 신경이 예민해지고 뇌와 몸이 손상된다. 


수많은 뇌 연구에 따르면, 우리가 어떤 하나님으로 믿고 예배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뇌가 달라진다. 권력으로 다스리는 신, 인간이 달래야만 용서를 베푸는 신을 믿게 되면 사랑이 파괴되고, 반항심이 싹트고, 개성이 말살된다. 전전두피질이 손상된다. 하지만 사랑의 하나님으로 믿고 예배하면 치유가 찾아온다.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된다. 전전두피질은 사랑과 공감과 이타심을 경험하는 뇌 부위다(제닝스, 99-100). 바울이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은 부인하는 자들(딤후 3:5)이라고 한 대상은 불가지론자와 무신론자가 아니다. 말로는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속성인 사랑의 진리를 부인하는 자들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본질인 사랑을 놓치고 하나님에 관한 교리와 율법적 신학, 종교 제도와 같은 실정법에 얽매인 채 쌓는 제자훈련이라면 오히려 삶을 파편화하거나 파괴하기 쉽다. 특히 하나님의 사랑의 법을 놓치고 권위주의적인 하나님 관을 견지하면 파멸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을 기독교 역사가 증명해 준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94년 르완다에서 발생했다. 4개월 만에 무려 백만 명 이상이 살상되었는데, 그 장소는 주로 교회였다. 당시 르완다는 인구의 56퍼센트가 천주교, 26퍼센트가 각종 개신교단으로 기독교 국가였다. 무려 백만 명이 죽임을 당한 그 절망적인 시기에 사람들은 교회로 피신했다. 이때 교회 지도자들은 도피 중인 사람들을 교회 건물 안에 들인 뒤 민병대에 알렸고, 민병대가 교회에 들어와 숨어있는 사람들을 살육했다. 성직자가 자기 교인을 죽였고, 교인이 자기가 다니던 교회 성직자를 죽였다. 대학살의 광란이 끝난 뒤 교회와 교단을 불문하고 많은 개신교와 천주교 성직자뿐 아니라 교회의 장로와 집사와 교인이 재판에서 전범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제닝스, 111). 티머시 롱맨은 이 전쟁의 참상을 고증한 책에 이렇게 보고했다. “자기 행동이 소속 교회의 가르침에 부합한다고 믿었기에 일부 종파의 암살단은 죽이러 나가기 전에 미사를 드렸다. … 사람들은 날마다 미사에 와서 기도한 뒤 출동해 살해했다. 민병대원이 광란의 살육을 잠시 멈추고 보란 듯이 재단에 무릎 꿇어 기도하는 경우도 있었다”(Timothy Longman, Christianity and Genocide in Rwanda, 6-7). 


연구진이 어떤 유형의 사람들이 살상에 가담했고, 어떤 유형의 사람들이 교회에 피신한 사람들을 보호했는지를 조사해 본 결과, 그 요인은 하나로 귀결되었다. 교단과 상관없이 하나님을 독재자나 권위주의적인 존재로 생각한 사람들은 살상에 가담했고, 사랑의 하나님으로 생각하고 믿는 사람들은 피난민을 보호했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세례를 어떤 방법으로 베푸는지, 예배를 무슨 요일과 어떤 방식으로 드리는지, 죄를 사제에게 고해하는지 아니면 하나님께 직접 자백하는지, 성찬식을 어떻게 하는지, 기도를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등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을 어떤 하나님으로 믿느냐였다. 기독교의 바른 교리와 바른 신념에만 몰두하고, 하나님의 본질인 사랑을 놓친 그리스도인은 다르게 믿는 사람들을 용납하지 않고 그들을 살상하는 데 가담했다(Longman, 같은 책, 7-8).


넓은 의미에서 제자훈련은 영혼 돌봄과 치유와 관계된다. 물론 영적 성장과도 관계된다. 제자훈련이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의 병이나 죄를 보지 못하고 실정법인 교리와 율법적 신학의 지적 습득에만 몰두하게 될 때, 사람들의 병이나 죄를 볼 때도 처벌 대상으로만 여기게 된다. 사람들에게 실정법 개념만을 가르치면 하나님의 사랑이 막힌다. 실정법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율법적 신학은 마음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완고하게 만든다(제닝스, 114). 이러한 특성은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실정법에만 치중한 공동체는 사람들을 더 이기적이고 비판적인 사람들로 이끌 수 있다. 미국, 캐나다, 중국, 요르단, 남아공, 투르키예 등지의 어린이 1,17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종교적인 가정에서 자란 아이는 종교가 없는 가정에서 자란 아이보다 더 나눠 가질 줄 모르며 남을 더 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의 저자는 어느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번 연구를 보면 무신론과 무종교 가정의 아이일수록 오히려 더 너그러웠습니다. …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어느 나라든 다 비슷하게 종교는 아이의 이타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종교심이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한다는 견해에 반할 뿐 아니라 종교가 도덕적 발달에 꼭 필요한지 의문을 품게 합니다. 도덕적 담론의 세속화가 인간의 친절성을 떨어뜨리지 않는다는 말이지요. 사실 그 반대입니다”(제닝스, 156-57).


티머시 제닝스는 하나님의 설계의 비밀, 즉 인간의 마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질서와 비밀을 무시하고, 교리와 같은 실정법에만 몰두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초래되었다고 강조한다. 다시 말해 하나님은 인류가 하나님의 사랑의 법을 가지고 살아가도록 창조하셨는데, 종교적인 사람일수록 이 하나님의 법을 놓치고 율법적으로만 사람을 대하기 때문에 더 이기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회의 제자훈련은 조직의 교리나 이해관계를 보호하려던 내용을 버리고, 사람들의 마음속에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공급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제자훈련이 인간이 만든 실정법 위에 서 있는 한, 머리 되신 예수 그리스도 아래 연합할 수 없다. 실정법의 전염병은 항상 기독교에 비참한 분열을 초래했다. 성경의 교리나 해석이 어느 쪽에 옳으냐를 두고 경쟁하며 싸우게 된다. 하나님의 법이 실정법에 불과하다는 거짓말을 받아들임에 따라 사람들은 그분의 법을 서로 다르게 해석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착각에 빠진다(제닝스, 182). 


기독교가 수만 갈래의 분파로 갈라지고 분열한 현상과 교회 공동체 사람들이 더 이기적인 현실은 하나님의 자연법을 인간의 실정법으로 대체한 데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회는 이제라도 실정법에만 충실한 제자훈련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연법, 하나님의 창조적 설계에도 충실한 제자훈련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자연법은 하나님이 설계한 인간의 뇌, 마음, 몸, 자연 질서 등과 관계되고, 실정법은 인간이 만든 교리, 제도 등과 관계된다. 물론 교리와 같은 실정법과 하나님의 창조적 설계인 마음과 몸 등과 같은 자연법은 나선형 관계 안에서 소통할 때 보다 더 효과적인 제자훈련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지만 폴 트립의 말처럼, 교리는 삶을 위한 것이라는 확고한 신념이 있어야 한다(폴 트립, 교리와 삶은 하나입니다 참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공유하기
  • 공유하기

작가 최창국

최창국 교수는 영국 University of Birmingham에서 학위(MA, PhD)를 받았다. 개신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제자들교회 담임목사로 섬겼다. 현재는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실천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는 『삶의 기술』, 『실천적 목회학』, 『영혼 돌봄을 위한 멘토링』, 『해결중심 크리스천 카운슬링』, 『영성과 상담』, 『기독교 영성신학』, 『기독교 영성』, 『중보기도 특강』, 『영성과 설교』, 『예배와 영성』, 『해석과 분별』, 『설교와 상담』, 『영적으로 건강한 그리스도인』, 『영혼 돌봄을 위한 영성과 목회』 등이 있다. 역서는 『기독교교육학 사전』(공역), 『공동체 돌봄과 상담』(공역), 『기독교 영성 연구』(공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