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외감과 친밀감에 관하여
by 노승수2020-11-07

진정한 만족과 성숙은 성경을 아는 지식의 성장에서부터 자라는 것이다. 영적이며 심리적인 건강은 우리 감정이 상황에 맞고 우리 이성과 의지가 상황과 관계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데 있다

Share this story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연인의 이별과 부부의 권태에 결여된 것은 친밀감이 아니다. 친밀감의 결여로 연인이 이별을 경험하거나 부부가 권태에 빠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오히려 존경심의 결여가 이별의 원인이 된다. 사람들은 관계를 위해 친밀감에 몰두한다. 그러나 친밀감의 탐구가 끝나면 곧 권태를 경험하게 된다. 친밀감은 관계를 유지하는 진정한 원천이 되지 못한다. 하나님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성경은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를 친밀감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경외’로 요약되는 존경심을 요구한다.


유교적 덕목에서 부부간을 구별이 있는 것으로 부자간을 친한 것으로 정의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부부 간에 결여되기 쉬운 것이 존경심이고 부자간에 결여되기 쉬운 것이 친밀감이기 때문이다. 지나친 친밀감은 중독이거나 폭력이 결과다. 관계 중독이고 이 중독은 더 강한 자극을 요구하고 그 요구가 채워지지 않을 때, 권태를 경험하고 다른 대상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현대는 친밀감을 기본적으로 결여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신앙의 영역에서도 친밀감이 목회와 신앙의 중심 이슈를 등장하지만, 이는 관계를 망치는 원천이 된다.


그런가 하면, 친밀감은 폭력의 결과이기도 하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납치 피해자가 납치 가해자를 동정하거나 지지하게 되는 증후군을 일컫는 말이다. 이 현상은 언뜻 잘 이해가 안 되지만 사실은 우리 주변에 아주 흔한 증후군이다. 예들 들어, 가정 폭력의 피해자들의 심리상태는 거반 이런 상태에 놓여 있다. 한 쪽은 위력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한 쪽은 마치 부모 손에 놓인 갓난아기처럼 무기력하게 자신의 모든 것을 상대방이 결정하도록 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일종의 병리적 적응이다. 납치나 가정 폭력에서 한쪽의 위력이 피해자의 인격적 자기 결정을 붕괴시켰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이런 상황에 놓인 피해자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가해자를 이해하려는 심리 내적 노력을 보이게 된다. 그런 중에 가해자의 상황과 성장 배경, 트라우마에 대한 일종의 공감이 형성되면서 생기는 심리 현상이다. 가해자의 과도한 폭력과 강요된 친밀감과 이해는 한 인격이 자율적으로 사랑하는 일을 방해한다. 이처럼 인간관계에서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는 정상적인 인격적인 반응을 어렵게 하거나 쉽게 권태로 관계가 허물어지게 한다.


그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무엇이 결여되어 있을까? 오늘날 우리 신앙에 있어서 결코 친밀감이 모자라지 않다. 오히려 과하다. 신앙적 방종은 바로 이런 의식에서부터 나오는 것이다. 얼마 전 작고한 J. I. 패커(J. I. Packer)는 현대 복음주의에 대해 일컫기를 “하나님을 편안한 이웃집 할아버지로 만들어 버렸다”고 정의한 적이 있다. 현대적 친밀감의 요구가 오히려 하나님과의 진정한 관계를 방해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신앙에 턱없이 부족한 것은 ‘친밀’이 아니라 ‘존경’이다. ‘경외심을 결여한 신앙’은 오늘날 신앙의 보편적 행태이다. 그래서 이 친밀감을 증진할 여러 ‘신앙적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 프로그램들은 신자들의 영적인 만족 특별히 친밀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현대 신앙을 제대로 진단한 것이 아니다. 잠언이 증언하듯이, 경외함은 지식의 근본이 된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경외라는 태도로부터 유래하는 것이다.


이 경외감을 더 적극적 형태로 표현한다면 그것은 ‘경건’이다. 칼뱅에 의하면, 경건이란 ‘말씀을 어기기를 죽기보다 싫어하는 감정’으로 요약된다. 경외감은 그래서 성경에 천착할 수밖에 없다. 성경을 아는 지식과 열정이 우리를 신앙적 성숙으로 이끈다. ‘신앙적 프로그램’들은 뭔가 성숙한 느낌, 친밀감 등등의 자기만족적 감정을 가져다주지만 다람쥐가 쳇바퀴를 도는 것이 아무런 성과를 낳지 못하는 것처럼, 백화점 쇼핑이 만족을 주지 못하는 것처럼, 그것은 일종의 영적 쇼핑에 불과하다. 진정한 만족과 성숙은 성경을 아는 지식의 성장에서부터 자라는 것이다. 영적이며 심리적인 건강은 우리 감정이 상황에 맞고 우리 이성과 의지가 상황과 관계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데 있다.


하나님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하나님은 우리가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위엄과 권능을 가진 분이시다. 그에 비해, 우리는 자신의 인생을 결정하는 데서 한 없이 무기력한 존재이다. 하나님과 교제에서 친밀감만 구한다면 우리는 정말 제대로 사귈 수 있을까?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가 격이 완전히 다름에도 폭력적이거나 병리적이지 않은 것은 무엇보다도 하나님께서 한 없이 자비하시며 우리가 그분과 교제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주셨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친밀감이 아니라 경외감을 갖고 하나님이 정하신 법도를 따라 적정과 절도의 원리로 하나님과 교제하는 데로 나아가는 것이다. 지나친 친밀감의 추구가 남녀의 관계에서 권태를 만들 듯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분을 경솔히 대하는 결과를 빚을 수 있다. 많은 경우 기독교 내에서 행해지고 있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다는 훈련들과 행위들은 이런 문제를 안고 있다. 친밀감의 추구가 거짓 예언과 음성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관계에서 강요가 만들어내는 폭력은 힘 있는 자가 없는 자를 향해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지 않는 것으로 우리가 듣거나 그것으로 하나님의 이름을 빙자하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다른 의미의 폭력이다.


자기 마음의 거짓으로 너희에게 예언하는도다(렘 14:14)
그들이 말한 묵시는 자기 마음으로 말미암은 것이요 여호와의 입에서 나온 것이 아니니라(렘 23:16)
자기 마음대로 예언하는 여자들에게 경고하며 예언하여(겔 13:17)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친밀감이 아니라 경외감을 갖고 하나님이 정하신 법도를 따라 적정과 절도의 원리로 하나님과 교제하는 데로 나아가는 것이다

Share this story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공유하기
  • 공유하기

작가 노승수

노승수 목사는 경상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석사학위(MDiv),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핵심감정 시리즈(탐구, 치유, 성화, 공동체)’의 저자이다.